클라이언트와 서버
클라이언트
- 서버에게 '상품 페이지 열어줘' '댓글 표시해줘' 같은 요청을 하고 응답을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프로그램
-
요청이 '시작'되는 곳이라고 하여 '프론트 엔드'
서버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는 프로그램
-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맞춰 제공
- 요청을 '마지막'으로 처리하는 곳이라고 하여 '백 엔드'
CRUD
-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생성하기(Create), 읽기(Read), 수정하기(Update), 삭제하기(Delete)의 앞 글자를 딴 말
- 데이터는 무조건 이 네 가지 방법으로 처리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RDB)
모든 회원에게 숫자(=Key)를 부여하고(대학교 학번처럼), 상품에도 고유한 상품 번호를 부여 => 이 숫자를 이용해 '누가' '무엇을' 샀는지 표시
즉 Key라는 고유 식별자를 부여해 데이터를 보관하고, Key를 활용해 데이터를 연결하여 보관하는 방식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가볍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음
캐시와 쿠키
데이터는 주로 서버 DB에 저장하지만, 인터넷이 끊겨도 유지되어야 하는 정보거나, 사용자 편의를 위해 유지되어야 하는 설정일 때 클라이언트 쪽에 저장
그때 사용되는 것이 캐시와 쿠키
캐시
-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
-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데이터도 같이 사라짐
- 오디오나 이미지 파일을 미리 복사해 트래픽을 줄이고 로딩을 빠르게 하는 데 쓰임 =>같은 페이지를 두 번째 방문했을 때 그 전보다 빠르게 로딩
- 캐시는 클라이언트 스토리지에 저장돼 있을 수도 있고, 서버나 CPU 등에 있을 수도 있음
쿠키
- 쿠키는 만료기한을 정할 수 있어 브라우저가 꺼져도 만료기한 전에는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음
- 주로 사용자의 인증 정보 또는 변경된 옵션값을 저장하는데 사용
- 예 : 자동 로그인, '오늘 하루 그만 보기' 팝업 설정 저장 등
'📝공부, 스크랩 > 프로덕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자일 방법론 - 스크럼과 칸반 (0) | 2022.01.13 |
---|---|
워터풀과 애자일의 차이 (0) | 2022.01.13 |
IT 용어 정리 : Lo-Fi, Hi-Fi / 웹 서버 / API / JSON (0) | 2022.01.04 |
퍼블리의 애자일하게 일하는 방법 & 우리 팀 계획 (0) | 2022.01.03 |
상황별 유저 리서치 방법 정리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