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단계
- 제품을 좋아(like)하는 다수의 사용자보다 제품을 사랑(love)하는 소수의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
- 이탈 사용자가 부활 사용자보다 많기 때문에 급격한 곡률을 갖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둘 간의 균형이 만들어지며 그래프가 플랫해짐
- 신규 사용자가 활성 사용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성장 단계
- 초기 단계 제품은 접근 가능 시장(addressable market)에의 침투 수준이 낮고 성장 속도도 더뎠으나 성장 단계에 접어들어 PMF를 찾아가기 시작하면 성장이 가속화됨
- 월 활성 사용자 대비 신규 사용자의 비중은 줄어듦
- 여전히 신규 코호트 집단 내 이탈 사용자 비중이 높음
- 하지만 이전 코호트 집단의 부활 사용자 수가 늘어나기 시작하며 유지율이 안정되어 월간 활성 사용자 수에 기여
고도 성장 단계
- 부활 사용자가 이탈 사용자를 초과
- 신규 사용자가 빠르게 늘어나며 극적으로 성장
- L5+/7(일주일에 5번 이상 제품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비율), 세션 수, MAU/DAU(일일 활성 사용자)와 같은 모든 활성화 관련 지표가 향상되고 제품은 PMF와 규모, 모든 측면에서 성공적인 결과
- 이때부터 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스텝을 준비해야 함 (고도 성장한다고 안심하면 안 됨)
성숙 단계
- 부활 사용자와 이탈 사용자 사이의 균형이 이뤄집니다.
- 신규 사용자 확보에 한계
- 성장은 정체되고 (그래프가 일자에 가까워짐) 모든 코호트는 부활과 이탈 사이의 안정적인 균형 상태에 도달
S곡선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제품을 다각화하고 성장해야 지속가능함
ex. 넥플릭스
2007년 미국에서 스트리밍 제품을 시작 > 2010년에 고도성장 단계에 돌입 > 이때 이미 해외 확장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시작했었음 > 2010년 말 다른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출시 > 몇 년 후 미국 시장의 성장이 성숙기에 접어들 때까지 글로벌 성장이 Netflix의 신규 가입자 증가를 이끎
출처
https://sonujung.com/data-informed-product-building-no1#heading-1-early-phase
'📝공부, 스크랩 > 프로덕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Ch3. 실무에 돌입하기 (0) | 2021.12.16 |
---|---|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Ch.1,2 서비스 기획이란? / 애자일 방법 / UX 분석 방법 (0) | 2021.12.16 |
[힙데비x핵클] AB테스트 웨비나 정리 (0) | 2021.12.03 |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 마!] 사용성 테스트 - 원칙, 주의점, 주요 용어 (0) | 2021.11.25 |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 마!] Ch.1~5 정리 (0) | 202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