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A 서울산업진흥원 x 그로스쿨의 ‘매출을 급성장시키는 사람들의 일하는 방식 인사이트 스쿨’ 강의 중 섹션2
Product와 Groth
Product는 핵심가치를 만들기 위한 것
Groth는 목표 타겟의 n%에게 가장 빠른 기간 내에 핵심가치를 경험시키는 것 (Product를 사용하게 하는 것)
즉, Prooduct를 Groth 시킨다는 것은 유저들이 최대한 자주 핵심가치를 경험하게 하는 것!
프러덕트 담당자의 역할들
프러덕트 매니저의 역할
프러덕 마케팅 매니저 - 오직 고객을 생각!
LMF (Language - Market - Fit)
잠재고객을 움직여 우리 제품을 쓰게 할 Language가 무엇인지, 즉 어떻게 우리 제품을 소구 할 때 반응이 높은 지를 테스트 해보는 방법
우리 제품을 써야 하는 이유를 고객의 언어로 풀어내 보자!
확인할 체크리스트
- 소구점 100개 뽑았는지?
- 소구점 별 먹히는 것에 대한 근거가 있고 실험을 했는지?
- 이것을 프러덕트 로드맵에도 적용했는지?
1. TEST
- Value Prop Testing
- Copy Testing
- Creative Testing
2. Sclae - up
- 성과가 좋았던 게시물을 복붙
- Target을 쪼개기 (신규, 관심사, LAL 등)
LMF를 생각하는 Process
1. WHO (Persona)
2. WHAT (Value Promise)
3. HOW (Copy Variation)
4. HOW (Creative Variation)
5. Scale-up (Channel expansion)
6. Playbook
Jobs To Be Done 성공사례) 맥날 밀크쉐이크
LPO (Landing Page Optimization)하는데 도움을 주는
6가지 인지 편향
1. 카테고리 휴리스틱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만들기
랜딩페이지의 예시는 아니지만, 카카오톡 UI를 휴리스틱적으로 평가한 것이 좋아서 스크랩
https://dbdlab.tistory.com/entry/heuristics
UI 휴리스틱 평가 10원칙 - 카톡으로 알아보기
인터랙션 디자인 휴리스틱 평가 10원칙 (Heuristic Evaluation - UI) 제이콥 닐슨의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디자인할 때 갖추어야 할 10원칙'을 소개하겠습니다. 이 휴리스틱 평가법은 유저 인터페이스 디
dbdlab.tistory.com
2. 전문가 편향
사람은 확신이 없고, 빠르게 결정 내리고 싶을 때 전문가 조언을 통해 뇌의 생각을 줄이고 보다 편하게 결정 내린다
3. Socail Proof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했는지 보면서, 내 생각의 로드를 줄이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쉽게 모방하려는 경향
ex. 별점이 표기된 광고는 생각 없이 누르는 경향이 있음!, N명이 지금 이 제품을 보고 있어요! or 선택했어요!, 이 상품을 구매한 고객들이 구매한 상품
B, C가 수건 재사용을 높였으나 C는 '230호에 머문'이라는 동질감을 더 추가하면서 B보다 재사용률이 더 높은 결과를 냄
4. Power of Now
즉각성의 힘! ex. 오늘 N시까지 결제하면 당일 출고!
5. Scarcity Bias
커머스에서는 이런 희소성이 잘 먹힌다
ex. 시간제한, 수량 제한(라이브 커머스), 멤버십 제한
6. Power of Free
'📝공부, 스크랩 >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캠] 디지털 마케팅 종류,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오가닉/네이티브/브랜디드) (0) | 2021.10.08 |
---|---|
페북 광고 입문 (픽셀/광고 구조/리타겟팅 효과 높이는 법/퍼널별 소구방법/광고 최적화 기준) (0) | 2021.09.27 |
콘텐츠 마케팅 잘 하는 방법 (0) | 2021.08.31 |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0) | 2021.08.29 |
[SEO] 타이틀 & 헤딩태그 (0) | 202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