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스크랩/마케팅

구글/네이버 검색 알고리즘 특징 & 테크니컬 SEO

by grow_s0 2021. 8. 5.
구글 검색 알고리즘

이중 중요한 지표는 Content + Rankbrain + Link

  • Link : 내 사이트에 좋은 content가 있다는 것을 다른 웹사이트한테도 Link형식으로 인정을 받는 것
  • Rankbrain : content와 link를 제외한 다른 모든 요소들을 구글이 '머신러닝'으로 학습한 스코어 (사이트의 속도, 신뢰도 등등 자동으로 점수가 매겨짐)
  • 파란색, 초록색은 + 점수
  • 빨간색/분홍색은 - 점수

 

네이버 검색 알고리즘

C 랭크

 

 

On & Off-page , Black hat SEO

1. On-page

우리가 만드는

테크니컬 seo / 콘텐츠seo를 해야함.

 

2. Off-page

다른 사이트에서 우리 사이트로 링크를 줘야하는 부분

링크빌딩 (트래픽 유도용. 타인이 우리 사이트 좋다고 링크 다는 거)

 

3. 해서는 안되는 SEO (=Black hat SEO) 사례

  • Link Farming : 인위적으로 링크를 많이 만드는 것
  • Keyword stuffing : 페이지를 만들 때 해당검색어를 많이 넣어서 그 검색어가 많다고 포장하는 것
  • Page cloaking : 검색로봇에게 줬던 페이지가 아닌 다른 페이지를 보여줬을 때 (적발됨)

 

 

테크니컬 SEO - 대표 요소
Robots.txt : 웹페이지와 검색엔진이 서로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수단

형식 :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nofollow” />

 

Robots.txt 파일 안에 검색엔진한테 어떤 내용은 가져가도 좋고, 어떤 내용은 가져가지 말라고 지정하는 파일

웹 사이트에 로봇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약으로, 일반적으로 접근 제한에 대한 설명을 robots.txt에 기술

=> 사이트의 특정 페이지가 검색 엔진의 검색결과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해당 페이지가 크롤링될 수 없도록 할 수 있음

 

Google 웹마스터 도구에는 robots.txt를 변경하여 특정 URL 제어를 테스트하는 기능을 제공

 

 

 

Sitemap.xml : 검색엔진한테 웹사이트의 중요한 콘텐츠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

페이지, 이미지, 비디오에 대한 사이트맵이 있음

여기에 나오는 사이트맵 = 중요한 콘텐츠다!

 

 

Image Alternative Tag : 검색엔진이 이미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하는 태그 

⇒ 구글, 네이버 이미지 검색에 잘 노출될 수 있음

 

Anchor Text (=Link Text) : 타 사이트에서 페이지를 링크로 가리킬 때 링크 위에 적힌 텍스트 (하이퍼링크에서 클릭이 가능한 부분)

중요한 이유 : 검색엔진에게 해당 페이지의 정보(어떤 컨텐츠를 지니는지)를 전달함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로" 접속하여 해당 페이지를 접속했을 때 해당 키워드에 해당하는 앵커 텍스트로 클릭하면 상위노출 지수 올라감 (즉 어떤 키워드로 접속을 해서 페이지에 이동하는지 고민해야함)

청소업체 그린크린환경 : 네이버 블로그 검색상위 노출을 위한 앵커텍스트와 링크Link

 

사용자와 검색 엔진에게 링크하려는 페이지에 대하여 알려줌

 

 

 

메타 디스크립션 : 검색결과에서 보여지는 사이트에 상세 내용 →축약이 잘되도록!

형식 :  <meta name=”description” content=”페이지 요약문” />

 

Google검색에서, 결과 페이지 내용 미리보기(snippet)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중요. 여기서 “사용할 수도”라고 표현한 것은 페이지에 표시되는 텍스트가 사용자 검색과 잘 일치되는 경우에는 Google이 이 텍스트 관련 부분을 내용 미리보기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

길이 : 영어나 기호를 기준으로 약 135~160자 정도가 적합 / 한글이라면 80~110자 정도가 적당

 

페이지의 핵심 내용을 입력하되 목표하는 검색어의 검색 의도에 최대한 초점을 둬야함

(4위에서 10위에 랭크된 웹 페이지더라도 검색자가 기대하는 내용을 잘 정리한 요약문이 눈에 들어오면 충분히 클릭을 더 많이 받아 낼 수 있다.)

 

트래픽 유입을 기대하는 키워드의 경우는 가능하면 최초 50자 이전에 

 

 

Hreflang : 다국어 사이트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태그

 

 

Canoical URL Tag : 중복된 콘텐츠를 방지하는 태그

동일한 콘텐츠가 계속 게시되면 검색엔진은 중복된 콘텐츠로 양이 많아보이게 한다고 오해할 수 있음

⇒ 오리지널 콘텐츠라고 canoical이라고 tag를 달아주게되면 중복된 페이지에 대한 점수가 canoical 페이지로 합쳐짐

 

 

Preferred URL : 사이트를 대표하는 URL을 지정하는 것으로 구글의 서치콘솔에서 지정 가능

검색엔진은 http, https 이런걸 다 다르게 처리

 

 

Subdomain vs Subfolder : 서브 도메인 방식

사이트 및 페이지 생성 시 검색엔진 최적화에 필요한 점수가 새롭게 책정됨

 

Subdomain : blog.mysite.com VS Subfolder : mysite.com/blog

서브도메인 형식 ⇒ 정보가 분산

 

 

타이틀 태그

형식 :  <meta name=”title” content=”페이지 타이틀” />

 

url : 검색 엔진이 문서를 크롤링하기도 쉬워짐

 

 

 

강조되는 테크니컬 SEO
  1. Load Time : 스피드 (핑덤 툴 사용) - 3초 이내로 보여줘야 함
  2. Mobile friendly : 모바일 속도도 빨라야 함
  3. HTTPS : 보안 프로토콜
    •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간의 데이터를 암호화 → 전달받는
    • HTTPS가 아닌 프로토콜은 HTTP인데, 암호화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로 네트워크상에 데이터가 왔다갔다하게 됨
    • 보안에 신경 쓴 웹사이트가 신뢰도있다고 파악, 해킹당할 여지도 없어서 더 상위노출

 

 

테크니컬 SEO - 새로운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 
  • Open graph & Twitter Card : 공유했을 때 우리 웹사이트 설명
  • 구글 마이 비즈니스 (like 네이버 스마트 플레이스)
  • 구글 포스트 : 검색 결과 이벤트나 포스트들을 노출시킬 수 있는 창
  • Featured Snippet : 정의에 대한 것을 맨 위에 자동으로 (질의응답식으로 만들면 됨!)

 

 

테크니컬 SEO 점검 툴 - 구글 서치콘솔, 네이버 웹사이트 도구

search consol

페이지의 크롤링 상태를 확인, 문제가 있는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arch Console 정보 - Search Console 고객센터 (google.com)

 

Search Console 정보 - Search Console 고객센터

Google Search Console은 Google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사용자가 사이트의 Google 검색결과 인지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줍니다. Search Console에 가입하지 않아도 Google

support.google.com

 

  • noindex
    크롤러에게 웹 페이지를 읽어가지 않도록하는 값 
  • nofollow
    크롤러에게 페이지 내의 링크로 연결된 웹 페이지로 이동을 허락하지 않는 값
    -> 페이지에서 방명록, 포럼, 자유 게시판, 참조자 목록 등과 같이 사이트의 방문자가 글을 남길 수 있는 부분은 댓글 스팸에 노출되기 쉬운 곳
    사이트방문자가 구글이 인식하는 스팸성 사이트에 링크하는 경우, 자신의 사이트의 인지도에 영향이 미칠 수 있음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advanced/guidelines/prevent-comment-spam?visit_id=637637169998468814-325568290&rd=1 

 

댓글 스팸 방지 방법  |  검색 센터  |  Google Developers

댓글은 웹사이트 소유자가 커뮤니티와 독자층을 형성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만 스팸 발송자나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악용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스팸 발송자들의 대다수가 스팸을 생성

developers.google.com

 

웹마스터 도구

. Google의 웹마스터 도구는 Google이 웹사이트와 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웹마스터가 잘 제어하게 하고 Google로부터 사이트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

 

 

 

Screaming Frog - 500개까지 무료
  1. Status Code : 400 ~ 500 번 수준의 영역을 체크할 필요
    (200번은 잘 가지고 왔다. 500번은 서버가 죽었다. 300은 웹주소 변경됐지만 문제x, 400은 페이지가 없어 해당 seo문제 있다.)
  2. Internal : 수집한 해당 웹사이트의 모든 리소스를 리스트업
  3. External : 해당 웹사이트에 포함된 외부 사이트 링크에 대한 점검
  4. Protocall : 보안 프로토콜과 관련된 항목
  5. Response Code : Internal & External의 주소들을 한꺼번에 보여줌
  6. Page Title : 검색엔진이 결과 페이지를 보여줄 때 나타나는 요소로 매우 중요함 (만약 길이가 없는 것이 있으면 그 페이지 HTML에 타이틀 태그 넣기 0
  7. Title Length : 길이 기준으로 Sorting 하여 특정 페이지의 타이틀이 없는 경우를 체크할 필요 (한글기준 35글자면 짤림)
  8. Meta Description :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페이지의 내용을 요약문의 형태로 보여주는 영역
  9. Meta Description Length : 길이 기준으로 Sorting 하여 내용이 없거나 문구 등의 내용을 확인 후 길이 등을 체크 (50~75글자) → 75자 적당
  10. Meta Keyword : Abusing 이슈로 인해 메타 키워드 영역을 최근에는 고려하지 않는 추세 (비워두는 게 나음 - 속도면에서 더 좋아지기도 하고)
  11. H1 Tag : 미리 정의한 웹사이트 폰트 크기에 대한 태그 - 중요 내용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해 해당 태그를 통해 검색엔진이 사이트의 중요 내용을 파악할 때 사용
  12. Image Tag (Alt tag를 의미) : Alt Tag를 통해 이미지가 담고 있는 내용에 대한 설명

 

오른쪽 패인 부분

  1. overview : 수집된 내용의 요약
  2. Site Structure : 페이지 접근을 위해 클릭을 해야하는 횟수 → 3번 안에 모든 페이지 접속!
  3. Responsive Times : 시간이 얼마큼? → 3초 미만의 접근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