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스크랩/데이터

[패캠 GA 올인원] Ch 05. GA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by grow_s0 2021. 7. 19.
맞춤보고서의 구성

기본 보고서 내에서 확인이 어려운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Google Analytics의 맞춤보고서를 활용

Dimension과 Metric을 조합하여 원하는 보고서를 구성

 

Dimensions : 데이터의 특징이나 성질  ex. 국가, 도시, 언어, 소스, 페이지

Metrics : 데이터의 정량적 요소  ex. 세션수, 사용자, 페이지뷰

 

 

GA 맞춤보고서 종류

1. 탐색기 (Explorer)

첫번째 측정기준 클릭 시 하위 측정기준으로 정렬

 

2. 플랫표 (Flat Table)

측정기준을 일렬로 나열

 

3. 방문자 분포 (Map Overlay)

지도 형태의 보고서, 지역별 데이터 한 눈에

 

4. 유입경로 (Funnel)

지정된 경로 별 사용자 전환율, 이탈율 바로 확인 가능

 

 

필터기능

특정 dimension값에 해당하는 것을 포함 or 제외 가능

ex. 매체명이 orgamic인 데이터를 포함 => organic외에는 다 사라짐 ▼

 

 

정규표현식 (정규식)

필터 / 맞춤 보고서 / 목표 / 잠재고객 / 콘텐츠 그룹 / 채널 그룹 등을 정규식으로 표현 가능

 

1. . (마침표) : 일치

 

2. | (파이프) : 또는 

 

3. ^ (캐럿) : ^바로 뒤에 오는 문자로 문자열이 시작

 

4. $ (달러 기호) : $ 바로 앞에 오는 문자로 문자열이 마침

 

5. () (소괄호) : 그룹화

 

6. \ (백슬래시) : 뒤에 오는 문자가 문자열임을 표현

.이 정규식이기 때문에 문자로 해석하게 만들고 싶으면 백슬래시 달아야함 

 

* 정규식 표현 잘 적었는지 알고 싶으면 rubular 들어가기

 

 

Scope

모든 Dimension과 Metric은 Scpoe를 가지고 있음

 

세그먼트 (Segment)

세그먼트 설정요소

1. 인구통계 : 연령, 성별, 언어, 위치 등 

2. 기술 : 운영체제, 브라우저, 기기 등

3. 행동 : 홈페이지 내 고객 행동 - 세션, 마지막 세션 이후 경과 일수, 거래, 세션 시간 등 

4. 첫 번째 세션 날짜 : 홈페이지 최초 방문일 기준 고객 분류 

5. 트래픽 소스 : 유입 경로 - 캠페인, 매체, 소스, 키워드 기준

 

 

세그먼트 생성시 세션기준 / 사용자 기준이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짐!

(사례1)

세션 기준으로 소스가 네이버와 일치하는 세션수는 3, 사용자는 3

사용자 기준으로 소스가 네이버와 일치하는 사용자는 3, 그 3명의 세션수는 9

 

(사례2)

괄호안이 결제수라고 했을 때 네이버를 통해 유입된 세그먼트를 분석할때

사용자 기준으로 하면 결제가 1개씩 다 일어남. 세션기준으로 하면 안 일어남

 

 

행동 부분 

거래수 - 사용자당 / 세션당 (1번의 세션으로 N회 거래) / 조회당 (1번 GA로 데이터를 보낼때 보내지는 최대는 1 => 1아니면 0값)

 

 

조건 세그먼트

다양한 Dimension을 이용해 고객 분류 가능

해당 조건을 세션 or 사용자 기준으로 포함 or 제외해서 분류

 

 

소스/매체관련 세그먼트 만드는 방법 

고급 - 조건 or 트래픽소스 - 소스/매체 

 

주의 점

사용자 기준은 한 박스가 한 히트!

a페이지와 b페이지를 둘다 본 사용자가 아닌 동시에 한 번의 hit내에서 본 사용자로 집계가 됨 

세션일 때 하나의 세션 => 그 한 번의 세션동안 a,b페이지를 둘다 본 세션이 집계가 됨

박스를 구분하면 a,b 페이지를 둘 다 본 사용자가 집계됨

 

순서 세그먼트

ex. 홈을 보고 장바구니를 본 세션/사용자 이렇게 구할 수 있음!

바로 다음도 있고 다음단계도 있음

 

 

* 맞춤보고서나 세그먼트를 한꺼번에 공유하고 싶다면 : 설정 > 보기 > 자산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