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게이지먼트 루프
2. 밀착도
3. 트리거
4. 밀착도 전략
5. 해볼 만한 질문들
1. 인게이지먼트 루프란
프로덕트를 정기적으로 사용할 때 경험하는 액션, 트리거
호기심 > 아하모먼트 > 가치교환 > 트리거 > 소셜프루프
인게이지먼트 루프에서 중요한 지점 = 신규 유저의 가입 ~ 첫 가치 교환까지의 여정
성장이 이루어지려면 유저들이 계속해서 프로덕트에 인게이지 해야 함
2. 밀착도
일일/월별 활성화 유저, DAU/MAU 비율, 한 달 30일 중 앱을 X번 사용하는 사람
이커머스는 방문빈도보다 지갑 점유율이 더 중요
해당 프로덕트의 알맞은 사용 주기를 계산해야 함. => 해당 사용주기를 토대로 밀착도가 어느정도인지 알 수 있음
DAU/MAU 비율만으로는 파워 유저인지 아닌지 파악할 수 없음 => 파워 유저를 알아내고 이들의 행동을 탐색하는 것이 밀착도 전략 수립에 좋음
X일 동안 프로덕트에 활성화되었던 유저 비율
파워유지 곡선이 스마일 모양이면 제대로 성장하고 있다는 의미
3. 트리거
밀착도를 향상시키는 핵심 부분, 리인게이지먼트
- 1) 외부 트리거 : 다음에 해야할 일을 알려줌
ex. CTA가 포함된 푸시알림, 이메일, 광고 및 추천
- 2) 내부 트리거 : 프로덕트가 생각, 감정, 기존 일상과 밀접하게 결합될 때 발생
ex. 눈 뜨면 SNS 키기, 일하면서 쇼피파이 재생하기 등 => 습관이 되어 외부 트리거가 필요하지 않게 됨
간단히 말하자면, 유저가 밀착된 프로덕트들은, 유저가 프로덕트에 인게이지 할 때 만들어진 데이터를 연료로 사용하여, 더 인게이지 될 수 있는 경험을 선사함으로써 유저는 더 떠나기 어려워집니다.
- Sharah Tavel -
4. 밀착도 전략
우선 밀착도를 측정해야 하나, 알아야 할 것
- 유저들이 누구인지
- 유저들이 어떤 행동을 얼마나 자주 하는지
일반적인 사용 밀착도 : 유저들이 일주일 or 한 달 중 며칠동안 어떤 행동을 했는지
핵심 이벤트 밀착도 : 유저들이 일주일 or 한 달 중 며칠동안 핵심가치에 도달하는 행동을 했는지
파워유저 밀착도의 행동 코호트 => 어떤 행동이 더 높은 밀착도와 관련있는지 파악
5. 해 볼 만한 질문들
- 얼마나 자주 사용
- 얼마나 밀착
- 파워유저 곡선 생김새
- 인게이지먼트에 초기 공백이 있는지
- 어떻게 파워 유저처럼 행동하게 만들 수 있는지?
- 유저 획득 경로
- 유저는 누구인가? : 어떤 것을 신경쓰고, 고충이 무엇인지 등 성향과 행동 페르소나 파악하기 => 해당 페르소나 중 어떤 페르소나가 더 오래, 자주 사용하는지 분석 / 각 페르소나 인게이지를 높이기 위해 어떤 트리거를 사용할지, 어떤 행동을 어떻게 유도시킬지 등
- 사용할만한 유저의 습관 ex. 배달 서비스 : 새로운 식당 푸시알림을 점심 시간에 보내기 등
'📝공부, 스크랩 > 프로덕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텐션] 현재 유저 / 신규 유저 (0) | 2022.06.13 |
---|---|
[리텐션] 제품 사용주기, 코호트, 행동페르소나 등 (0) | 2022.06.12 |
[인게이지먼트] 신규 유저 활성화를 위한 전략 / 사다리 정의 (0) | 2022.06.01 |
[인게이지먼트] 3가지 게임 / 지표 / 고객 가치 교환 / 루프 (0) | 2022.06.01 |
AB테스트 진행 방법 (가설 수립 - 실험 진행 - 결과분석) (0) | 202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