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스크랩/마케팅

브랜딩을 잘 하기 위한 14가지 (7 Concept, 7 Experience)

by grow_s0 2021. 12. 5.
브랜딩이란? (Brand+ing)

- 브랜드를 만들어가는 모든 과정

- 아이를 키우는 것과 비슷

- 원하는 대로 크는 것도 아니고, 어릴 때는 하나하나 다 챙겨야 하나 어느 정도 크면 알아서 자생하기도 함

- 아이를 키우는 것만큼 어려운 부분

 

 

* 책 : 모든 비즈니스는 브랜딩이다, 홍성태 정리본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958870 

 

모든 비즈니스는 브랜딩이다

상품이 아니라 가치를 팔고자 하는 모든 기업의 지침서!브랜드, 브랜딩, 퍼스널 브랜딩, 브랜딩 전략, 감성 브랜딩… 포털 사이트에 ‘브랜딩’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비슷해 보이는 연관검색

book.naver.com

* 정리 내용 출처 : https://brunch.co.kr/@zwang/60

 

브랜딩을 잘하기 위해 알아야 할 14가지

[책] 모든 비즈니스는 브랜딩이다. | 브랜딩은 무엇일까요? 브랜딩은 종종 양육에 빗대서 표현하곤 합니다. Brand + ing로 브랜드를 만들어가는 모든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꼭 아이를 키우는

brunch.co.kr

 


 

7 Concept

1. 고객 지향성(Customer Orientation)

고객이 왜 사야하는지

 

 

2. 응축성(Condensation)

임팩트있는 한마디를 찾자

 

 

3. 창의성(Creativity)

창의성은 꽃. 아름다운 꽃이 피려면 뿌리가 튼튼해야함

좋은 전략이 있어야 좋은 표현이 나옴

 

*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드는 법

평범한 아이디어 > 범위는 넓지만 어떤 틀 안에 있는 아이디어 > 이제 더는 나올 것이 없구나 라며 힘이 빠지는 순간에 나오는 창의적 아이디어

창의적 아이디어는 한 번에 나오는 것이 아님. 생각과 생각의 끝에 나옴

 

 

4. 지속성(Continuity)

잘못된 전략이라도 제대로 밀고 나가면 성공할 수 있음

뛰어난 전략이라도 꾸준히 밀지 못하면 실패

 

 

5. 조화성(Combination)

품목간의 조화가 중요

판매용, 홍보용, 수익용, 구색용 등 전시성과 수익성이 높고 낮은 다양한 품목을 모두 구성

판매용, 수익용만 팔면 XX

 

 

6. 일관성(Consistency)

내부 브랜딩의 중요성

구성원에게 계속 비전과 희망을 줘라

상상력을 실천으로 옮기는 리더의 모습은 구성원을 이끄는 가장 큰 힘

 

 

7. 보완성(Complementarity)

직원과 대표는 보완적인 관계여야 함.

그려려면 컨셉을 공유해 모두가 주인의식을 가져야 함

 

 

 

7 Experience

1. 비본질적인 요소 (Extrinsic Elements)

사용자는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모름  ex. 애플 

많은 브랜드가 기본적인 니즈를 채워주면 고객들은 원츠를 찾게 되고, 그 원츠를 브랜드가 알아내야 함

이런 비기능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가격과 소요의 한계가 사라짐

 

 

2. 감성요소 (Emotion)

머리는 좋아해야 할 이유를 찾아주고

마음은 구매해야 할 이유를 찾아준다

ex. 고향의 맛 다시다, 오리온 초코파이 정 등 감성 마케팅 

 

 

3. 공감 요소 (Empathy)

해결만이 아닌 공감

 

 

4. 심미적 요소 (Esthetics)

기능은 효용을 중시하고, 느낌은 감각을 중시함

디자인은 상품과 여러 활동을 통해 브랜드로 이어지지 않으면 스스로는 큰 힘이 없다 - 현대카드 정태영 사장

 

 

5. 스토리 요소 (Episode)

스토리가 있으면 인식에서 갈망 단계로 넘어갈 수 있음

인식은 '기억'되는 것이라면 갈망은 '찾게' 되는 것

ex. 그리스 로마 신화

 

(오늘 동생과 대화하다가 교보문구의 창업 스토리를 들었다. 창업자가 어렸을 적 무척 가난해서 책을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몰래 보면서 자랐다는데, 국민 모두가 이런 지식을 얻는데 어려움을 없게 하는 목적으로 만드셨다고. 유서에도 교보문구는 없애지 말라고 하셔서 후손들이 적자를 봄에도 운영 중이라는 스토리였다. 동생은 이 스토리에 '갈망'하여 책을 살 때는 무조건 교보문구에서 구입한다고)

 

 

6. 엔터테인먼트 요소 (Entertainment)

소비자를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이 아닌, '재미있고 개성있는 삶을 살아가려는' 사람으로 봐야 한다

VALS (Value And Life Style)을 얼마나 잘 파악하는지가 승패를 좌지우지

 

 

7. 자아 요소 (Ego)

정체성 식별을 위해

자아를 매력적으로

 

* 브랜드의 페르소나

황제 / 영웅 / 전문가 / 친구 / 의인

 


출처 : https://brunch.co.kr/@zwang/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