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스크랩/창업 관련

MVP와 MLP : 사용자의 '애정'을 얻는 Product

by grow_s0 2021. 6. 5.

목차

  • MVP  #정의 #한계점
  • MLP  #정의 #프로세스
  • 애정을 가지게 하는 단계  #유용 #성장 #영감
  • MLP를 만드는 4원칙  #필요 #문제집중 #맹목적판단X #선택

MVP란? (Minimum Viable Product)

MVP는 가설을 증명하는 도구

그래서 사용자가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이기만 하면 됨

'부족한' 기능의 제품을 단순히 '빠르게' 내놓는 것이 X

 

Viable : 생존가능한

즉 최소한으로 생존가능한 제품으로 우리말로 번역하면 생존가능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것, 이 서비스의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임

 

MVP의 한계점

MVP로 '먹히는 것'을 찾아낼 수 있지만 내 제품을 '계속 사용'해야하는 이유를 찾아내기에는 부족 

가설을 증명할 순 있으나, 방향을 제시하진 않는다

또 그 가설이 적중하고, 사용할 수만 있다면 소비자는 내 제품이 아니라 어떤 제품이든 사용할 수 있다. 

 

MLP의 필요성

따라서, 애정을 받을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가설을 제시, 피드백을 하는 과정이 필요!

 

MLP란? (Minimum Lovable Product)

'수용 가능' 제품이 아닌 '애정' 받는 제품을 목표

빠르고 가벼우면서 / 우리 제품에 열광할 소수의 초기 사용자를 가진 / 제품을 만드는 것

 

MVP선택과 집중에 따른 신속성, 정확성, 경제성 + 사용자에게 최적화하는 프러덕트 (UX고려) 

 

프로세스 

1. 가장 해결하고자 하는 것에 집중 (제일 가치 잇는 것)

2. 사용자가 좋아할만한 경험을 만들기

3. 지속적으로 좋은 경험을 하도록 만들어 '추종자(Tribe)'를 만들어내기

 

애정을 가지게 하는 단계들

애정을 구성하는 10가지 요소를 3단계 피라미드 구조로 제시 (2017)

  • 1단계: 유용(Utility)
    • 희망(Hope): 사용자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제품 사용을 마음먹은 순간 느끼는 기대감
    • 만족(Satisfaction): 제품 사용 후 기대가 충족된 감정
    • 관계 형성(Care): 제품에 대한 문제 해소나 질의에 대한 답변 등으로 관계가 형성되는 순간

 

  • 2단계: 성장(Growth) : 제품이 자신이 하는 일에 도움이 되며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의식
    • 자신감(Confidence): 자신이 제품을 제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용자의 인식
    • 신뢰(Trust): 본격적인 팬심
    • 확장(Scale): 제품의 업데이트, 변화에 불평 없이 따르며 긍정적으로 반응
    • 지속성(Sustainability): 제품의 세부사항과 제품을 만드는 팀까지 관심을 가지며 이들이 몇 년이 지나도 우수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 믿는 심리

 

  • 3단계: 영감(Inspiration) : 제품이 자신의 일상·삶에 분명한 변화를 가져다주고 있다는 인식
    • 동기 부여(Motivation): 제품이 자신의 일상과 삶을 낫게 해주는 동기라고 여기는 상태
    • 즐거움(Fun): 제품의 사용이 자신의 희망과 관심사를 달성하고 불편을 해소하는 데 확실한 도움이 된다는 직감
    • 신앙심(Halo; 의역): 누군가 제품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가 긍정적인 인식을 주고 주변인에게 제품 사용을 독려

 

이 단계를 보면서 스타트업은 '성장'단계로만 가도 엄청 성공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ㅋㅋㅋ

영감 단계로 떠오르는 브랜드는 나이키, 애플 등이 있는 것 같다. 스타트업중에는 개인적으로 마켓컬리

 

MLP를 만드는 4원칙

1. 비즈니스가 아닌 사용자의 '필요'에서 시작할 것

- 무작정 하는 것이 아니라 잘 설계된 방향성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 그 방향은 사용자가 알려줌

 

2. 문제와 솔루션을 분리할 것

- 기존에 성공한 솔루션을 토대로 제품기획 X

- 우리가 예상하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것과 실제 그 제품의 사용자 필요가 다르다는 걸 인지하는 게 제품 기획의 첫 단계

- 즉, OO계의 우버를 만들 이유가 없음. 문제 파악이 우선! 문제가 항상 기준!

 

3. 사용자에게 귀 기울이되 맹목적으로 '판단'하지말 것

- 모든 피드백에 반응해서는 안 됨

- MLP에 필요한 것은 실제적이고 솔직하고 해결했을 때의 가치가 높은 고충

 

4. 가장 가치 있는 문제와 솔루션을 '선택'할 것

- 아무리 고객군을 쪼개서 인터뷰를 했어도 수십개의 문제가 나왔을 것

- 가장 중요한 1문제에 집중, 하나의 문제에 여러 솔루션이 나와도 한 솔루션에 집중

- 선택하는 기준은? <‘괜찮네요.’ 이런 평가가 돌아오는 솔루션이 아니라, ‘지금 쓸 수 있나요?’ 질문이 돌아오는 솔루션>


참고자료

https://dewberry9.github.io/mlp-for-growing-product

 

MVP는 방향이 아닌 속도다. MLP로 성장하는 제품 만들기(1/2) | 매거진 입맛

빠르고 경제적인 MVP의 성공이 늘 제품의 성공인 건 아닙니다. 왜일까요? MVP의 한계를 극복하는 MLP(Minimum Lovable Product)을 알아봅니다.

dewberry9.github.io

https://dewberry9.github.io/four-principles-of-mlp

 

일은 최소로, 효과는 최대로. MLP 4원칙. MLP로 성장하는 제품 만들기(2/2) | 매거진 입맛

어떻게 해야 성장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을까요? 뉴욕타임즈, 디스코드, 클래스패스, 채널톡의 사례를 통해 MLP 4원칙에 대해 알아봅니다.

dewberry9.github.io

https://brunch.co.kr/@tsp/50

 

MVP와 MLP, 그리고 선택과 집중

선택과 집중 그리고 우선순위의 혼란함을 정리하는 방법 | 원문 So long MVP, Hello Minimum Lovable Product. By Laurence McCahill (November 3, 2015) REVISITED IT 업계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을 하다 보면 대부분의

brunc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