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3가지중 1가지에 엄청 집중해서 바이럴을 터트림
핫메일 : 메일보낼때마다 제일 하단에 핫메일에서 보냈다는 문장이 남겨짐 (당시에 이메일은 유료였으나 핫메일은 무료)
페이스북 : 다른 SNS 아이디를 넣으면 친구를 찾아줌. 만약 친구가 가입이 안 되어 있으면 초대 알림을 보냄
페이팔, 드랍박스 : 초대를 해서 가입하면 돈을 뿌렸음
MAU가 아니라 CC를 목표로 한다면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들을 자연스레 하지 않게 됨
ex. 일시적인 마케팅, 다크패턴 등
지역화폐의 경우 코로나가 끝나면 지속하지 못할 것이니 CC에 영향을 주지 못 함 => 지역 화폐를 토스와 연동하는 행동을 하지 않음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지만 그런 일은 잘 일어나지 않음. 이를 기대하고 사업을 시작하면 안 됨
현재 시장을 전환시킬 생각을 해야 함
Broadness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하는가
Frequency : 얼마나 자주 하는가?
온라인으로 얼마나 전화되느냐, 그중 시장 점유율에 따라 Macimum CC파악 가능
Frequency가 월 3번이 안 되는 서비스는 Retention Plateau를 만들기가 거의 불가능 => CC 측정 불가능
커머스는 주로 초기에는 월 3~4번씩 안 씀 => 노력들이 필요
7 Trailing CC와 30 Trailing CC를 측정함으로써 내가 매주 하는 행위들이 CC에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 가능
제품 구조 3가지 요소들이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아야 함.
ex. 토스 마이 데이터 : 리텐션이 높아도 바이럴은 낮음 / 과거 토스의 간편 송금 : 와우 팩터와 리텐션이 둘 다 높았음
'📝공부, 스크랩 > 프로덕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네트워크 이해 - 통신, IP, TCP, UDP, PORT, DNS (0) | 2023.02.01 |
---|---|
비전공자 입장에서의 IT 기본 지식들 (0) | 2022.10.08 |
[리텐션] 복귀 유저 / 실행 계획 (0) | 2022.06.14 |
[리텐션] 현재 유저 / 신규 유저 (0) | 2022.06.13 |
[리텐션] 제품 사용주기, 코호트, 행동페르소나 등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