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스크랩/디자인

다크 패턴 UX 뜻과 사례

by grow_s0 2022. 2. 7.
다크 패턴이란?

사용자의 요구와 윤리를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에게는 좋지 않지만,

회사에 이익이 되는 결정을 하도록 속이는 UIUX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로를 선택하도록 의도적으로 신중하게 선정된 인터페이스

 

나쁜 의도는 없지만 엉성하거나 게으른 것은 '안티 패턴' 

실수가 아닌 의도가 담긴 디자인 전술은 '다크 패턴'

둘 다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지만 의도냐 우연이냐에 따라 구분지을 수 있음

 

 

다크 패턴의 종류

미끼와 스위치

 

위장된 광고 : 광고가 아닌 것처럼 속여서 광고를 클릭하도록 유도

 

집중 분산/현혹시키기 : 사용자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일에 의도적으로 집중시키는 유형

- 항공사 : 저렴한 시간대가 있어도 그 위의 가격대를 더 싼 것처럼 보이게 / 좌석 선택이 필수가 아니지만 필수로 해야하는 것처럼

- 저렴한 상품은 평범한 검은 글씨 => 눈에 잘 안 띄게

- 설치 팝업창 : 팝업창에 쓸모없는 옵션을 넣는 것

 

숨겨진 비용 : 결제 단계에 왔을 때 배송비, 세금 등 예상치 못한 요금이 나타나는 것

(추후 금지됨)

 

트릭 질문 : 주의 깊게 읽지 않으면 완전히 다르게 응답하게 되는 것

- 첫 번째는 메시지를 받지 않으려면 체크하라 / 두 번째는 메시지를 받으려면 체크하라

 

선택 강요 : 옵션을 선택하지 않은 것에 죄책감을 느끼게 만듦, 불쾌감을 주기도

- 거절에 관한 카피를 '비싸게 구매하기' : 거부 옵션을 부끄럽게 여김

 

로치 모텔 : 진입은 쉽지만 빠져나가기 어렵게

- 탈퇴, 환불, 구독 취소 등 

- 인스타는 계정 삭제를 위해 9단계를 거쳐야 함

 

FOMO : 사용자가 보는 항목이 수요가 많은 것을 인지시켜주고 빠른 구매 결정을 하도록 압박을 내리는 유형

- 얼마 남지 않은 상품개수

- 특정 상품 페이지를 보고 있는 사람의 수 등

 

바구니에 끼워넣기 : 설치 원하지 않는 옵션이나 아이템을 몰래 끼워 넣는 거 (법령으로 금지됨)

 

프라이버시 주커링 : 자신이 의도한 것보다 더 많은 정보를 공개적으로 공유하도록 속이는 것 (페북이 심했어서 주커버그 이름 붙여서 지어짐)

 

 

강제 연속성 : 무료 이용이 끝나고 사용자가 거부하지 않는 한 신용카드로 결제가 연장되는 유형 (금지됨, 이제 7일 ㅈㄴ에 통지를 해야 함)

 

가격 비교 숨기기 

- 무게당 가격을 보여주지 않음

- 단가 계산이 쉽지 않은 번들을 사용 등

 

출처
사용자는 모르는 10가지 다크 UX 패턴